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도시가스(LNG) '정밀안전진단' 기준 및 조사방법
    도시가스 (LNG) 2022. 7. 17. 15:11
    반응형

    정밀안전진단

    1) 도시지역에 설치된 최고사용압력이 1메가파스칼 이상인 본관 및 공급관으로서 최초로 시공감리증명서를 받은 날부터 15년이 지난 배관 

    2)도시지역에 설치된 최고사용압력이 0.1메가파스칼 이상부터 1메가파스칼 미만까지인 본관 및 공급관(사용자공급관은 제외)으로서 최초로 시공감리증명서를 받은 날부터 20년이 지난 배관 


    정밀안전진단 항목

    1) 배관의 각 길이 및 설치경과를 확인하되, 하천통과배관 및 교량첨가 배관은 위험도가 높은 배관

    - 피복이 되지 않거나 손상이 우려되는 배관

    - 용접 이외 방법으로 접합된 배관

    - 100% 비파괴시험을 하지 않은 배관

    - 연약지반에 설치되 배관


    현장조사 방법

    - 종류: 직류전압구배법 (DCVG), 교류전압구배법(ACVG)

    1) 정밀안전진단대상 전체 배관의 10% 이상에 대해 조사실시. (만일, 최근 5년 이내에 DCVG, ACVG를 조사결과를 제출하지 않을 시 추가로 20% 이상 조사 실시.)

    2) 1일 조사 및 작업범위는 3인 또는 4인 1조를 기준으로 300m 이상.

     

    직류전압구배법 (DCVG)

    배관에 공급되는 임시외전을 On-Off 하면서 배관피복손상부에서 전위구배의 발생 및 밀도전위의 증가여부 등을 측정하여 매설배관 피복의 손상여부를 조사

     

    교류전압구배법(ACVG)

    4.8Hz의 저주파 교류전류로 인해 배관 주변에 발생하는 교류 전위 구배를 측정하여 매설배관 피복의 손상여부 조사

    근접간격전위측정(CIPS)

    1) 정밀안전진단대상 전체 배관의 20% 이상에 대해 조사실시, DCVG (또는 ACVG) 조사결과 피복손상이 우려되는 배관구간은 정밀안전진단기관의 현장 조사 범위에 반드시 포함

    2) 정밀안전진단기관의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나머지 배관(전기방 식 방법이 희생양극법인 배관에 한한다.)에 대한 CIPS조사는 정밀안전진단기관에서 인정하는 배관관리주체(또는 전문기관)이 실시한 최근 5년 이내의 자체 조사결과로 대체

    3) 1일 조사 및 작업범위는 3인 또는 4인 1조를 기준으로 1km 이상.

     

    - 배관의 직상부에서 배관을 따라 P/S전위를 1~5m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방식전위상태를 측정 하여 특정지점에서의 국부적인 방식전위 불량지점을 찾고, 만약 간섭 문제일 경우에 방식전위의 경향을 정확히 파악하여 간섭지점과 간섭원인을 정확히 파악

     

    * 이 외에 굴착조사, 평가, 보고서 관련된 자료들은 밑에 출처를 통해 찾아보길 권장.

     

    출처: KGS FS551 2022

     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